복지뉴스

고령자 신체·인지기능 좋아졌나…"현재 70세, 10년 전 65세와 비슷"

동사협 0 99 03.21 09:24

복지부, 제3차 노인연령 전문가 간담회 개최
12년간 65~69세 중증 장애율 4.2%→2.4% 감소
만성질환 유병율, 의료비 지출도 젊을수록 낮아
집단별로 건강 격차…"노인연령 조정시 고려해야'


현재 70세가 10년 전 65세와 신체적·인지적 기능상태가 유사할 정도로 고령자들이 건강해졌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이윤환 아주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18일 오후 보건복지부가 개최한 제3차 노인연령 전문가 간담회에서 '보건의학적 관점의 노인 연령기준'을 주제로 발제하며 이러한 시각을 소개했다. 이날 간담회는 정부가 노인연령 조정과 관련해 민·관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마련했다.

이 교수 발표에 따르면 65세 이상 전체 고령자의 신체기능 장애율은 중증과 경증 모두 2011년부터 2023년까지 12년 간 추이에 큰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고령자 중 상대적으로 젊은 전기 고령자(65~74세)만 보면 중증 장애율은 감소했다. 특히 65~69세는 2011년 4.2%에서 2023년 2.4%로 감소 폭이 컸다. 70~74세는 4.9%에서 4.4%로 줄었다.

전기 고령자 연령을 좀 더 세분화해서 보면 2011년 65세와 2023년 69세의 중증 신체 장애율이 1.6%로 같았다.

이 교수는 "현재(2023년 기준) 70세의 기능상태는 10여년 전 65세의 기능상태와 비슷한 수준"이라고 말했다.

생리적 건강·신체기능·인지기능·정신적 건강·사회적 안녕 등 5개 영역의 기능상태를 합쳐 점수를 낸 건강노화 종합 지수(HAI) 역시 2011년에 비해 2023년에 평균 1점 증가, 고령자들이 보다 건강해진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2011년 65세 평균치(10.88)와 2023년 72세 평균(10.81)이 유사하게 나타났다.

그밖에 베이비붐 세대(1955년~1963년생)의 경우 산업화 세대(1945년~1954년생) 등 앞선 고령세대에 비해 만성질환 유병율이 낮고 의료비 지출이 낮은 특징이 나타난다는 점 등도 현재 기준 70세가 과거 65세 수준 정도의 몸 상태임을 뒷받침하는 근거로 제시됐다.

다만 이 교수는 "연령은 개인마다 편차가 크기 때문에 연령 만을 기준으로 삼는 경우 의학적 진단 등이 제한적일 수 있고, 정책 기준으로도 한계가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날 또 다른 발제자 권정현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도 사망률 하락, 기대수명 연장 등을 고려하면 인구 전반적으로 건강 상태가 개선된 것은 분명하다는 의견을 내놨다. 다만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건강 수준에 차이가 있다며 관련 정책 수립 시 이러한 점을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권 연구위원은 "우리나라는 생활환경, 소득수준 및 교육 수준의 변화가 크고 그에 따른 인구 집단별 건강 격차가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다"며 "근로기간 연장 정책 수립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근로 가능 여부와 관련성이 높은 건강 지표를 이용해 인구의 건강 수준 개선 정도를 평가해야 한다"고 했다.

구체적으로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건강 상태가 좋은 것으로 나타나지만 연령 증가에 따라 학력수준별 건강 수준의 격차는 대체로 감소한다"며 "노인연령 조정에 있어 고령집단 내 이질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기사=뉴시스] 


복지타임즈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