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뉴스

내년 치매 환자 100만명 돌파…가족들 어려움 1위는 "경제 부담"

동사협 0 102 03.13 09:33

보건복지부, 2023년 치매역학·실태조사 발표
베이비붐 세대 노년기 진입으로 유병률 감소
절대적 환자 수는 늘어 2044년 200만명↑추산
환자 절반 이상은 1인가구…건강 비교적 취약
환자 가족 10명 중 4명은 "경제적 부담 있다"
年 비용 지역사회 1733만원, 시설 3138만원



급격한 고령화에 따라 내년 치매환자 수가 100만명을 넘어설 것이란 추산이 나왔다. 또 치매 환자 가족 10명 중 4명은 돌봄 과정에서 경제적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가 12일 발표한 2023년 치매역학·실태조사 결과엔 이러한 내용이 담겼다.

이번 조사는 중앙치매센터,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갤럽조사연구소가 세 차례에 걸쳐 실시했다. 60세 이상 인구 1만1673명을 대상으로 인지선별검사를(1차) 한 뒤 해당 검사에서 위험군으로 나온 사람들에게 치매 진단 검사(2차)를 실시했다. 3차는 환자와 보호자를 대상으로 한 치매돌봄에 관한 조사였다.

먼저 치매역학조사 결과를 보면 2023년 65세 이상 고령자의 치매 유병률(65세 이상 인구 중 치매 환자 수 비율)은 9.25%로 2016년 조사 때 나온 9.50%보다 0.25%p 줄었다.

이는 2020년부터 1차 베이비붐(1955년~1963년) 세대가 노년기에 대거 진입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2023년 65세 이상 인구 수는 2016년 대비 약 268만명 가량 증가했다. 전체 인구 중 65세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은 2016년 13.3%에서 2023년 18.5%로 늘었다.

65세 이상 고령자의 교육수준이 향상되고 음주와 흡연 등 건강행태가 개선된 점도 치매 유병률 변화에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이처럼 치매 유병률은 감소했지만 경도인지장애 유병률은 2016년 22.25%에서 2023년 28.42%로 6.17%p 증가했다. 경도인지장애란 일상생활 수행 능력이 남아 있어 치매까지는 아니지만 기억력과 언어능력 등이 저하된 상태를 말한다. 치매로 갈 위험성이 높다.

경도인지장애 유병률 증가 요인으로는 치매와 경도인지장애 진단 기준이 세분화되면서 경도인지장애 단계에서 조기진단이 가능해진 점, 치매 조기 검진 활성화로 치매가 악화되기 전 진단이 이뤄진 점 등이 꼽힌다. 고령자들이 예전보다 치매 예방관리를 열심히 하면서 치매로의 진행이 늦춰져 경도인지장애 유병률이 높아졌다는 해석도 나온다.

이번 조사를 토대로 통계청 장래인구 추계를 활용한 결과, 치매 환자 수는 올해 97만명에서 내년 100만명을 넘어설 것으로 추정됐다. 2044년엔 200만명을 넘을 것으로 전망된다. 2016년 예측치로는 2025년 108만명, 2040년 218만명이었는데 그 당시 전망보다는 증가 추세가 완만해졌다.

경도인지장애진단자는 2025년 298만명, 2033년 400만명 진입으로 예상되고 있다. 2016년 예측치인 2025년 236만명, 2040년 403만명에 비해 더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양상이다.

치매 유병률은 여성 9.57%, 남성 8.85%로 여성이 더 높았다. 다만 2016년과 비교하면 남성은 8.18%에서 8.85%로 올랐고 여성은 10.46%에서 9.57%로 줄었다.

연령이 증가할수록 치매 유병률도 높아졌는데, 특히 75세 이상부터 급격하게 상승하고 85세 이상에선 20%를 초과했다. 85세 이상 여성의 치매 유병률은 28.34%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도시보다 농어촌의 유병률이 높았다. 또 독거가구이며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유병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사=뉴시스]

출처 : 복지타임즈(http://www.bokjitimes.com)

Comments